오라클 12c 이후부터 멀티 테넌트라는 개념이 만들어졌다.
Multi - tenant : 여러 세입자
>> 여러 세입자 (DB) 가 모여 산다 !!
CDB : Container DB
- container database. 여러 개의 DB 를 담을 수 있는 컨테이너.
- 하나의 CDB 는 여러개의 PDB 라는 독립된 데이터베이스를 담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함.
CDB$SEED
- 데이터 베이스는 아니지만, PDB 서버를 만들기 위한 템플릿.
- PDB 서버를 만들 때 seed 에 있는 설정을 기반으로 생성됨.
PDB : Pluggable DB
- PDB는 서로 독자적인 스키마, 스키마 오브젝트, 유저와 같은 집합을 가짐.
- CDPB 서버의 자원을 공유하면서 독립적이고 가상회 된 데이터베이스.
- XEPDB 는 seed 를 통해 생성된 기본 PDB 이다.
오라클 엔진 위에 CDB 를 구성하고, 그 안에 PDB 를 만들어 사용한다.
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이 서로 다른 PDB 를 바라볼 수 있다.
오라클 멀티테넌트 DB 기본개념 정리 (Oracle Multi-Tenant DB Basics)
오라클 MultiTenant 기능은 Oracle 12c 버전에서 처음 소개되었습니다. 현재는 Oracle DBMS 버전이 18c, 19c, 20c 까지 나온 상태라 이 기능도 꽤 연륜이 쌓였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. 개념은 그닥 복잡하지 않
jack-of-all-trades.tistory.com
[오라클] 3.PDB 서버 접속
Multi Tenant ArchitectureSQL Plus 혹은 SQL Developer를 통해 접속하는 오라클 서버에 대해서 알아보자. 2013년에 Oracle Database 12c 버전이 출시되며 오라클의 멀티 테넌트 아키텍처가 도입되었다. 과거에는 각
dq-korea.tistory.com
'D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Oracle] 테이블스페이스 (0) | 2025.05.03 |
---|---|
[PostgreSQL] 남은 연결 슬롯은 non-replication 슈퍼유저 연결용으로 남겨 놓았음 (0) | 2025.03.12 |
[DB/PostgreSQL] bigserial, bigint (0) | 2025.01.08 |
ELK (0) | 2024.12.19 |